본문 바로가기

INFORMATION

에어부산 기내 화재, 보조배터리 가능성 제기…기내 반입 규정 강화 필요성 대두

300x250
반응형

1월 28일 밤, 부산 김해공항에서 홍콩으로 출발하려던 에어부산 BX391편 항공기에서 기내 화재가 발생하는 사고가 있었습니다. 사고 직후 탑승객 170여 명이 비상 탈출하여 다행히 인명 피해는 없었지만, 화재 원인을 둘러싸고 다양한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승객과 승무원들은 화재 발생 위치로 기내 선반(오버헤드 빈)을 지목하고 있으며, 특히 보조배터리 발화 가능성이 우선적으로 논의되고 있습니다. 이번 사고를 계기로 항공기 보조배터리 반입 규정 강화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에어부산 기내 화재 원인은? 보조배터리 가능성 제기

1. 화재 발생 위치: 기내 선반(오버헤드 빈)

사고 직후 탑승객들은 기내 선반에서 불이 난 것을 직접 목격했다고 증언했습니다.

🔹 승객 증언
부산 남구에 거주하는 정영준 씨는 “불이 갑자기 짐칸에서 올라왔다. 이후 연기가 빠르게 퍼졌고, 승객들이 공포에 휩싸였다”라고 말했습니다.

🔹 승무원 증언
기내에서 연기를 가장 먼저 발견한 승무원 역시 항공기 날개 뒤쪽, 왼편 좌석 위 짐 보관용 선반에서 불이 시작됐다고 보고했습니다.

이처럼 기내 화재가 발생한 위치가 수하물이 보관되는 선반이라는 점에서 보조배터리 발화 가능성이 높은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2. 최근 항공기 보조배터리 화재 사고 사례

보조배터리 발화로 인한 기내 화재 사고는 이번이 처음이 아닙니다.

2023년 4월: 아시아나항공 여객기 기내 선반에서 보조배터리에서 연기가 발생
2023년 7월: 이스타항공 여객기 내 보조배터리 화재 발생
2023년 12월: 에어부산 여객기에서 보조배터리 화재 발생

이처럼 보조배터리로 인한 화재 사고가 반복되면서 기내 반입 규정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3. 보조배터리 기내 반입 규정, 현재 기준은?

현재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기준에 따라 보조배터리의 기내 반입이 제한되고 있습니다.

100Wh 이하 보조배터리 → 1인당 최대 20개까지 기내 반입 가능
100Wh~160Wh 보조배터리 → 1인당 최대 2개까지만 허용
160Wh 초과 보조배터리 → 기내 반입 불가

하지만 전문가들은 이 규정이 실제 기내 화재 예방에는 충분하지 않다고 지적합니다.


4. 보조배터리 화재, 왜 위험한가?

보조배터리는 충격을 받거나 과열되면 발화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기내 선반은 밀폐된 공간이 아니기 때문에, 화재 발생 시 불길이 빠르게 번질 수 있습니다.

🔹 항공안전 전문가 권보헌 교수(극동대 항공안전관리학과) 분석

  • 보조배터리는 높은 열을 발생시키며, 한 번 발화하면 쉽게 꺼지지 않음
  • 기내 선반은 플라스틱으로 덮여 있지만 내부가 비어 있어 불이 빠르게 확산될 위험이 있음
  • 기내에서 배터리 화재가 발생하면 진화가 어렵기 때문에 기내 반입 규정을 더욱 엄격히 해야 한다

5. 항공사 및 정부의 대응, 보조배터리 반입 규정 강화 검토 중

현재 국토교통부와 항공철도 사고조사위원회는 화재 원인을 조사 중이며, 전기 합선이나 누전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습니다.

하지만 엔진 손상 등 기체 결함 가능성은 낮다는 점에서, 보조배터리 화재 가능성에 대한 조사가 더욱 집중될 전망입니다.

항공업계에서는 보조배터리의 기내 반입 규정을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6. 승객이 기내에서 보조배터리를 안전하게 관리하는 방법

보조배터리는 잘못된 보관 및 사용 습관 때문에 화재 위험이 커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내에서 보조배터리를 안전하게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보조배터리 기내 반입 시 주의사항
보조배터리는 충격을 받지 않도록 보호 케이스에 보관
기내 선반이 아닌, 가방 안이나 주머니에 보관
과열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전원을 꺼둘 것
배터리가 손상된 경우 즉시 사용 중단
기내에서 보조배터리를 충전할 때는 승무원의 안내를 따를 것


7. 결론: 보조배터리 반입 규정 강화, 필요할까?

이번 에어부산 기내 화재 사고를 계기로 보조배터리 반입 규정을 더욱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커지고 있습니다.

현재 항공사들은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기준을 따르고 있지만, 반복되는 사고를 막기 위해 보다 엄격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항공기에서의 보조배터리 화재는 단순한 화재를 넘어, 자칫 대형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승객들은 보조배터리를 안전하게 관리하고, 항공사와 정부는 더욱 엄격한 규정을 도입해야 합니다.

향후 항공업계가 기내 반입 규정 강화와 보조배터리 안전 관리 대책을 어떻게 마련할지 주목됩니다.


 

728x90
반응형